일본에서 첫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환자가 발생, 숨진 것으로 4일 확인됐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광우병(BSE)이 사람에게 감염돼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진 CJD감염 의심환자에 대해 질병대책회의 CJD위원회를 열어 분석한 결과 변종 CJD로 최종 확인했다고 이날 밝혔다.
치명적인 변종 CJD는 BSE에 걸린 소의 뇌와 척수 등 특정위험부위나 오염된 쇠고기 섭취를 통해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균도 바이러스도 아닌 이상 프리온이라는 감염성 단백질이 원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본에서 CJD환자가 발생하기는 처음이다. 50대 남자인 환자는 2001년 12월에 발병, 작년 12월에 사망했다.
이 환자는 광우병이 맹위를 떨치던 1989년 영국에 1개월 정도 체류한 적이 있으며 수혈을 받은 적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후생노동성은 환자가 영국 체재 당시 감염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후생노동성은 작년 9월 전문가들로 감시위원회를 구성, 영국 전문가들과의 의견교환 등을 통해 일단 BSE와는 관계없는 고발형 CJD로 판정했으나 변종 CJD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제기돼 그동안 경과를 관찰해 왔다.
환자가 사망한 후 실시한 병리검사 등에서 변종 CJD 징후가 나타나 후생노동성이 전문가 회의를 열어 최종 확인했다.
영국에서는 지금까지 약 150명이 이 병으로 사망했으며 프랑스, 이탈리아 등지에서도 발병사례가 보고됐다.
일본은 광우병 소가 처음 확인된 2001년 이래 모든 비육우에 대해 전두검사를 실시하는 한편 이상 프리온이 축적되기 쉬운 뇌와 척수 등 특정위험부위는 제거토록 하고 있다.
한편 농림부 관계자는 이날 “우리나라는 일본에서 광우병이 지난 2001년 9월 발생한 이후 일본산 쇠고기 수입을 금지하고 있어 국내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일본산 쇠고기 수입이 금지된 상황이기 때문에 별다른 조치는 필요치 않고 관련상황만 계속 파악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