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통상부는 6일 홈페이지(www.mofat. go.kr) 해외안전여행란을 통해 인도와 네팔에서 음식을 매개로 한 마취절도가 빈번하다며 주의를 당부하는 글을 띄웠다. 현지인들이 외국 여행객에게 접근해 수면제 또는 마취제를 탄 음식과 음료수를 권해 의식을 잃게 한 뒤 소지품과 금품을 털어간다는 내용이다.
실제 지난해 7월24일 국내 배낭여행객 2명이 인도 북부지역의 기차 안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져 있는 것을 역무원이 발견해 인근 병원으로 옮겨 치료를 받았다. 이들은 아그라역에서 현지인들이 준 비스킷을 먹고 1시간 정도 의식을 잃었고 그 사이 미화 300달러와 여행자 수표 500달러를 절도 당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현지 절도범들은 전통음식인 밀기울이 든 밀가루로 만든 ‘짜빠티(빵의 일종)’와 우유에 홍차를 넣고 끓인 ‘짜이’, 그 외에 과자 또는 커피 등을 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관계자는 “남이 권하는 음식을 거절하면 실례라는 생각을 버리고 인도와 네팔을 여행할 때에는 낯선 사람이 권하는 음식은 반드시 거절해야 한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한편 외교부는 해외여행 중 긴급상황 발생시 대처요령이 담긴 팸플릿 ‘안전한 해외여행’을 인천공항에서 배포했다.
출국장과 수속 카운터 등에 배포된 팸플릿에 따르면 여행 전 필수 확인사항으로 ▲해외 안전여행 홈페이지(www.0404.go.kr)에서 목적지의 ‘여행경보’ 발령 여부 ▲여행국의 비자요구 여부 ▲한인회나 응급병원 등의 비상연락처 ▲국내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본인 연락처 남기기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 해외에서 긴급한 일이 발생한 경우 24시간 연중 무휴 가동되는 영사 콜센터(080-2100-0404)로 연락하며, 현지 호텔전화 공중전화 휴대폰 등으로 연락하면 무료로 자동 연결된다. 연결이 안될 경우 무료 수동연결(국가별 접속번호+0번+교환원+영사 콜센터)이나 유료 연결(현지 국제전화 코드+822-3210-0404) 등의 방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