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이 조만간 정보보호협정을 체결한다고 한다. 한국 정부는 그제 국무회의에서 체결안을 비공개 안건으로 상정해 통과시켰다. 양국은 이르면 29일 협정에 서명할 예정이다. 협정이 체결되면 광복 이후 한·일 양국 간 첫 군사적 협정이 된다. 협정의 요체는 북한군과 북한사회 동향, 핵과 미사일에 관한 정보 공유에 있다. 북한 정세가 동북아 지정학적 위기지수를 높이는 현실에서 공유의 필요성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일본은 정보위성과 조기경보기, 대잠초계기 등 첨단 장비를 보유해 정보역량에서 강점이 있다. 반면 일본은 한국이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확보한 대북정보 등에 기대가 크다고 한다. 시너지효과를 얻을 ‘거래’인 것이다. 한·미·일 3국 공조와 협력은 국가안보의 기초자산이다. 이런 점을 감안할때 북한 관련 정보를 양국이 공유하는 것에 시비를 걸 필요는 없다. 독도문제 위안부 문제 등 국민들의 일본에 대한 감정은 이해하지만 국제사회에서는 감정이 아니라 국익이 판단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나도 일본이 싫다 그러나 일본의 힘이 필요하다면 빌릴줄도 알아야 한다. 대한민국의 안보에 도움이 된다면 일본인에 대한 감정을 잠시 눌러둘 필요가 있다.